- 아이컨 뉴스레터
- Posts
- (12/4주) UFO, o3 그리고 사상 최고 원달러와 경제
(12/4주) UFO, o3 그리고 사상 최고 원달러와 경제
아이컨 경영/경제/세계/건강
(카카오로 구독 원하시면, 위 버튼을 누르고, 우상단에 채널 추가 해주세요)
(아이컨 뉴스레터는 국내 1,000대 기업 임직원들 및 컨설팅 업계 관련자 분에게 제공되고 있습니다. 장기적인 성장 전략, 변화의 핵심을 짚어드리기 위해 노력하고 있으니, 많은 분들의 구독 바랍니다.)
1. 뉴저지 UFO, 드론인가?
Source : Fast Company
지난주 뉴저지 주에서 상공에서 드론같은 물체가 발견되었고, 일제히 외신에서는 UFO가 아닌가 하는 기사가 나왔음
UFO라고 외신이 보도한 이유
엔진이나, 배터리 등으로 발생되는 열이 전혀 감지되지 않음
조종을 하는 전자기파 감지도 안됨
FBI와 같은 미국 당국도, 공식적인 언급을 하고 있지 않은 상황
미국 APNews에서도, 논란 중이라는 뉴스가 나옴
경찰도 수사에 착수했지만, 일주일째 결과가 나오지 않음
Drones, planes or UFOs? Americans abuzz over mysterious New Jersey (AP news)
직접 관찰한 주민의 발언을 따르면, 자동차 크기였으며, 드론 소리 들리지 않음, 호버링 장시간 등
현대 드론 기술로는 설명되지 않는다는 전문가의 의견도 다수
거의 1개월 째, UFO논란이 지속되고 있으나 아직도 미궁
과학자 들은 외계인이 존재하는 확률을 계산하는 공식인 드레이크 방정식을 오랫동안 세밀하게 조정하여 계산하고 있으며, 최근 영국의 노팅험 대학교의 천문학과 교수는 우리 은하에서만 교신 가능한 외계 문명의 숫자가 36개에 달한다고 발표한 바 있음 (포브스 지 기사)
2. 15년만의 최고 환율, 한국의 미래
12월 FOMC에서 다시 25bp 금리를 인하했습니다. 그러면서 달러 강세를 시사함
25년도에는 금리 인하를 안 할 수도 있음 (뉘앙스)
달러 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겠다는 의지의 표명이 있었음
그 결과, 달러의 강세가 예상이 되고, 반대 급부로 원화는 약세가 될 것이 예상됨
달러 강세는, 미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자산 가치에 부정적인 영향을 줌
더불어, 한국은 정치 불안 때문에 원화 약세가 가속화 됨
또한, (그간 투자를 하지 못하여 발생한) 한국의 제조업 경쟁력 약화
그리고, 한국의 인구 절벽, AI 등 하이테크 기술의 부재로 인한 경쟁력 약화로
장기적으로 원화의 약세는 심해질 것으로 전망함
이에 반응하여, 일본 (BoJ)는 올리지 않겠다는 의사 결정을 함
결국 엔화 약세는 지속되고, 이는 곧 달러 강세를 부르고,
이는 다시 원화 약세로 이어지는 악순환이 예상됨
달러 강세는, 미국의 지속적인 투자를 의미하며,
미국의 빅테크 업체는 25년도에 약 3천억달러를 AI 등에 투자할 계획임
이는 결국, 더 가파른 AI 섹터의 성장을 의미하며
한국 입장에서는 더 큰 기술 격차를 의미하며, 곧 원화의 가치 하락을 의미함
한 가지 변수는 미국의 인플레이션임
이유는 트럼프가 관세부과정책을 강하게 추진할 것이기 때문
관세는 물가의 상승를 의미하며, 이는 곧 인플레이션으로 이어짐
이를 막기 위해서 FOMC는 다시 금리를 올릴 가능성이 존재함
다만, 법인세 인하도 트럼프 공약의 한 축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이 빠르게 오지는 않을 것이지만, 트럼프 임기 중 인플레이션 우려는 여전히 하나의 리스크임
원화의 가치 하락이 수출에 주는 의미는 미미할 것임
단기적으로는 수출 기업들에게는 유리하지만,
저 부가가치 제품들은 중국에 밀리고, 고 부가가치 제품들은 미국에 밀리는 상황
한국 자산의 부동산 치우침이 계속 심화 되는 상황으로
가계 가처분 소득이 말라가고 있는 상황이므로,
수출, 내수가 모두 부진할 것으로 예상
더구나 계엄/탄핵 정국이 길어질수록, 더욱 암담한 상황이 지속될 것임
결국, 해외 투자자들의 국내 시장에 대한 투자를 갈수록 줄일 전망
3. 불붙는 생성형 AI o3, 2025년 예측
(Source : Shutterstock)
Written by Daniel (ICONIC members)
불붙는 동영상 AI 경쟁, 오픈AI의 분수령
오픈AI는 12월 9일 전용 페이지를 통해 동영상 생성 AI ‘소라’를 출시
최대 1분 가량의 영상을 제작 가능 (현재 출시되어 있는 타사의 동영상 생성 AI는 대부분 20초 내외의 짧은 영상물)
발표 당일 몰려든 사용자로 인해 접속이 불가했을 정도로 반응이 뜨거웠으며, 경쟁사 ‘런웨이’의 CEO는 자신의 X 계정에 “Game On”이라는 코멘트를 남겨 본격적인 동영상 AI 시장에서의 선두 경쟁을 예고함.
소라 잡아라: 구글의 맹추격, 비오2
이에 질세라 구글이 16일(현지시간) 동영상 생성 AI '비오'의 업데이트 버전인 '비오2'를 공개
4K 해상도로 2분 이상의 영상을 제작할 수 있어 소라보다 해상도는 4배, 길이는 6배 이상 개선된 수준
자체 테스트 결과 소라를 포함한 타사 경쟁 모델들보다 높은 평가를 받음
아직 정식 출시 시기는 미정이지만 이미 일부 테스터들은 직접 비교 영상을 통해 소라보다 더 뛰어나다는 평가를 소셜 미디어에 올리는 중
구글의 장군
앞선 11일(현지시간), 구글은 오픈AI의 GPT에 대항할 차세대 AI 모델인 ‘제미나이 2.0’을 공개함
이어진 19일(현지시간)에는 추론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 띵킹'을 출시
특히 추론 전문 모델 제미나이 2.0 플래시 띵킹은 오픈AI의 o1에 버금가는 속도를 자랑하면서도 멀티 모달 기능을 장착하고 추론 과정을 공개한다는 면에서 차별점이 명확
또한 구글의 자체 TPU(대규모 AI 모델의 학습과 추론에 최적화된 AI 가속기) ‘트릴리움’을 기반으로 구축했다는 점에서 유의미하다는 평가가 있음
Open AI의 멍군 (O3)
이에 오픈AI는 20일(현지시간) 곧바로 o1의 후속 추론 모델 o3를 발표함
오픈AI의 샘 알트먼 CEO는 o3가 최초로 AGI(범용 인공지능) 수준에 도달했다고 직접 밝히며 바로 전날 구글의 발표에 찬물을 끼얹음 (o2가 아닌 이유는 o2는 영국의 통신사가 브랜드를 이미 가지고 있기 때문)
내년 1월 말 저가 버전인 'o3 미니'를 먼저 출시한 후 o3를 출시할 예정
생성형 AI 후발주자 앤트로픽이 ‘클로드 3.5 하이쿠’를 공개
앞서 앤트로픽은 오픈AI 창립 멤버들이 세운 스타트업으로 주목받기도 했음
빠르고 비용효율적임을 강조함과 동시에 작은 크기 대비 성능을 과시했지만, 프론티어급 모델이 아닌 작은 크기의 모델로 앞선 구글의 발표에 대한 대응으로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대다수
지난 3일(현지시간) 아마존도 신규 AI 모델 ‘노바’를 공개한 바 있음. (아마존 노바 관련 기사 다시보기)
또다른 경쟁사 메타의 멀티 모달 모델 '라마4'도 내년 출시 예정인 가운데, 파운데이션 모델 간의 경쟁부터 동영상 AI 등 특정 제품군에서의 확전으로 이어지면서 2025년에는 오픈AI, 구글, 아마존, 앤트로픽 등의 각종 빅테크와 스타트업 간의 난전이 전망됨
향후 전망
생성형AI를 기존의 파운데이션 모델 기반 챗봇으로 제공하는 것에서 나아가 각종 디바이스 및 자사 플랫폼에 적용해 이용자들에게 어떤 형태로 제공할지가 주된 격전처로 보임
일례로 구글은 이번 발표를 통해 AI 에이전트로서의 제품 방향성을 굳힘
데모 영상에 스마트 안경을 등장시키고 직접 '프로젝트 아스트라'의 프로토타입으로서 언급하는 등 디바이스 및 구글 제품 기반의 적용 계획을 시사함
반면 오픈AI는 별도 에이전트를 출시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힘
오픈AI 제품책임자는 최근 한 인터뷰에서 1년 후 챗GPT가 챗봇 인터페이스를 벗어나게 될 것이며, 이를 발전시켜 에이전트 기능을 녹여내는 방향으로 갈 것이라 전함
4. 반도체 왕좌 탈환 초읽기, SK하이닉스
Written by ROZES (ICONIC Members)
하이닉스와 삼성전자의 실적 체크
24년 SK하이닉스 영업이익 전망 : 20조~45조4000억 원
24년 삼성전자(전체) 영업이익 전망: 27조9000억~49조 원
반도체 부문만 보면 사상 처음으로 하이닉스가 삼성전자를 추월할 것으로 예상
(연합 뉴스)
하이닉스의 기회와 리스크
하이닉스는 HBM 시장 주도권을 유지하며, AI 중심의 글로벌 수요 확대가 지속된다면 삼성전자의 영업이익을 지속적으로 추월할 전망
그러나, 낸드플래시 사업부가 중국 기업과의 경쟁에서 마진 압박을 받으며 실적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
특히, CXMT와 JHICC와 같은 중국 반도체 기업들이 가격 경쟁력을 앞세워 메모리 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하며, 한국 기업들의 마진 압박이 가중될 가능성이 있음.
미국의 대중국 수출 규제는 한국 기업들에게 시장 접근성 제한이라는 기회를 제공하지만, 동시에 미국 내 첨단 반도체 생산 확대 압력을 강화하고 있음
SK하이닉스는 중국 내 생산시설을 일부 축소하고 글로벌 밸류체인을 다변화해야 할 필요성이 커지고 있음
미국의 반도체 보조금, 하이닉스는 늘리고, 삼성은 줄이고
미 상무부는 삼성전자에 보조금을 6조 9천억원을 지급한다고 발표함 (당초 금액보다 26% 감액 → 투자대비 보조금 비율 : 13%)
하이닉스는 6,600억원 직접 보조금과 7,250억원의 정부 대출 지원을 받게 됨 ( 절대 금액은 삼성 보다 작으나, 보조금 비율은 예비 각서 때보다 더 늘어난 금액임, 조선 비즈)
위 두 정책은 바이든 정부의 마지막 보조금이 될 것이며,
트럼프는 이 보조금에 대해서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하고 있어, 향후 보조금의 지속 여부는 불투명함
카카오 채널로 편하게 뉴스레터를 받길 원하시면, 카카오 채널을 추가해주세요.
현재, 경영 컨설팅을 꿈꾸는 준비생, MBB 등 컨설턴트, 그리고 대기업의 임직원들이 우리 뉴스레터를 구독하고 있습니다. 컨설팅 펌의 파트너분들, Practice를 대기업 임원들과 공유하고 싶다면, [email protected]로 메일 주세요.